본문 바로가기
즐거운 리뷰/책장

영화 속 캐릭터를 통해 본 트라우마 이야기

by 心조교 2009. 9. 10.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김준기 / 시그마북스 / 2009년








우선, 이 책은 불편한 책입니다.

임상 혹은 상담 사례집을 본 느낌입니다. 임상심리사 혹은 상담자, 그리고 정신과 의사들은 그들을 찾아온 내담자 혹은 환자를 이해하고, 그들 스스로 상처 입은 내면을 들여다보고 치유할 수 있는 힘을 북돋워주기 위한 작업을 합니다. 그리고 일반인들이 그러한 사례집을 보다보면 자기 얘기 같은 착각에 빠지지요. 왜냐하면 모든 사람들에게는 그런 상처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자기 상처를 헤집는 듯한 느낌의 책은 불편감을 느끼게 합니다. 하지만 그런 불편감을 넘어서 상처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면 그 불편감은 쾌감이 됩니다. 이 책은 영화 속 캐릭터들의 말과 행동을 통해 상처입은 자들과 상처, 그리고 치유를 다룹니다.

소설 혹은 영화가 갖는 치유의 힘은, '나만 그런 것이 아니구나' 하는 안도감과 '그래 내 잘못이 아니었어' 하는 위안. 그리고, 아픔을 이겨내는 주인공들의 모습을 보면서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를 벗어나 '나도 저렇게 할 수 있어'하는 모델링으로부터 비롯됩니다.

다른 사람의 상처를 들여다보고, 상처 입은 이유, 그 상처가 유독 더 크게 상처로 남은 이유, 그 상처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 그리고 상처가 극복될 수 있다는 희망, 이런 것들을 얻기에 가장 좋은 출처는 영화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1시간반에서 길게는 3시간동안 타인의 삶과 상처를 들여다보기엔 참 좋은 도구이지요. 그런면에서 이 책은 상당히 적절한 도구를 이용해서 '상처', 즉 '트라우마'에 대해 다루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칸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전도연 때문에 더 유명해진 영화 밀양』, 가족에게서까지 무관심 속에 방치된 못생긴 여자아이 이야기 인형의 집으로 오세요』, 어린시절의 성폭행 이후 무기력하고 건조한 삶을 사는 『여자, 정혜와 상처입은 이들의 이야기『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그리고 희망을 놓치지 않았다는 측면에서 많은 감동을 안겨주는 『포레스트 검프와 "네 잘못이 아니야"라는 엄청난 메시지를 담은『굿윌헌팅』. 이 외에도 『21그램』, 『샤인』, 『라비앙로즈등 우리들에게 잘 알려진 영화 혹은 잘 알려지지 않은 영화의 캐릭터를 등장시켜 트라우마라는 이름의 상처와 상처를 보듬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 * *

영화 속 캐릭터들이 그럴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과거에 입은 상처가 현재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었습니다. 별 거 아니라고 덮어두었던 상처 위에는 딱지가 생겼고, 딱지 아래의 여린 살은 자신도 모르는 새에 곪아들어가고 있었던 것입니다. 비유하여 말하자면, 발가락에 생긴 작은 상처가 시간이 지나면서 허리를 아프게 하고 목을 뻐근하게 하는 경우, 허리에 파스를 붙이고 목을 주무른다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발가락에 생긴 상처 위에 소독약을 바르는 것이 아니라면 언제든 지속적으로 아플 수 밖에 없겠죠. 이 책은 왜 허리와 목이 아픈지를 살펴보고, 발가락의 상처를 보듬어줘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발가락의 상처가 외상으로는 이미 나아 전혀 아파보이지 않고 심지어는 사소해보이더라도 발가락 상처를 입었을 때의 자신은 지금보다 어렸고 놀랐을 거라는 점, 그리고 다른 사람의 어떠한 상처보다도 아팠을 거라는 걸 이해해야 합니다.

물론 누군가 이해해준다면 더할나위 없이 고맙겠지요. 하지만 누구도 이해해주지 못할 거라는 느낌에 외롭고 두렵더라도 그에 대해 너무 슬퍼하진 말길. 조금 더 시간이 지난 후의 좀 더 성숙한 당신은 지금의 불완전하고 삶이 어렵기만 한 당신을 꼭 이해해줄테니까요

* * *


그런 측면에서 이 책은 타인의 상처를 통해 자신의 상처를 돌아볼 수 있다는 점이 참 좋습니다. 정신의학이나 심리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어려운 용어 탓에 접하기 부담스러워하는 독자들에게도 어필하기 좋습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아쉬운 점이라면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할 수 밖에 없는 EMDR(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을 장 사이사이에 끼워넣어 소개하려고 했던 부분입니다. 물론 현실에서 PTSD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법을 소개하는 것은 좋았지만, 책의 흐름을 깨뜨린 느낌입니다. 게다가 현재 각광받는 치료법이라고 저자가 소개하고 있으나 일부 정신의학계에서만 받아들여지고 쓰이는 기법을 마치 PTSD의 유일무이하고 획기적인 치료법처럼 설명한 느낌이랄까요.

그리고 책 중간중간에 등장하는 단어들은 일반인들이 읽기엔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물론 CSI와 각종 미드로 단련된 분들이라면 어려움없이 술술 넘길 수도 있겠죠.

그리고 한가지 궁금증을 더 하자면, p.118-125, 178-182에 등장하는 저자가 치료한 사례의 경우, 환자에게 사례 공개 및 집필을 위한 동의는 받으셨는지 궁금하더군요.


마지막으로 책의 중간중간에 삽화와 함께 삽입되었던 문구 중에 기억에 남기고 싶은 문구를 소개합니다.

"지금 나와 다른 내가 되고 싶다면, 지금의 나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에릭호퍼) p.40

"다른 사람이 우리를 화나게 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우리 자신을 이해할 수 있다"(카를 구스타프 융)p.91

"그곳을 빠져나가는 최선의 방법은 그곳을 거쳐가는 것이다"(로버트 프로스트)p.179

"시간이 해결해준다는 말이 있긴 하지만, 실제로 일을 변화시켜야 하는 것은 바로 당신이다."(앤디워홀) p.224

"실제로 우리 인생에서 가장 줗은 시기는 우리가 어렵고 불행하고 불만족스러울 때도래한다.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과 진정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때문이다."(M. 스콧 펙) p.314

"어느 누구도 과거로 돌아가서 새롭게 시작할 순 없지만, 지금부터 시작하여 새로운 결말을 맺을 순 있다."(카를 바르트)